수요변화의 요인
수요변화 의 요인: 수요량의 변화를 야기하는 해당 재화의 가격 이외의 요인을 말한다.
㉠ 소비자의 소득: 일반적으로 소득이 증가하면 재화나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 고, 소득이 감소하면 수요가 감소한다. 그러나 재화나 서비스 중에는 소득이 증가하면서 오히려 수요가 감소하는 것도 있다. 예를 들어, 돼지고기를 소비 하던 사람이 소득이 증가하여 돼지고기 대신 소고기를 소비하게 되면, 소득이 증가하는데도 돼지고기에 대한 수요는 오히려 감소한다. 이처럼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정상재(正常財, normal goods)라고 하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그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와 서비스를 열등재(劣等財, inferior goods)라고 한다. 일상생활에서는 대부분의 재화나 서비스가 정상재이며, 열등재라 할지라도 소득이 낮은 수준에서는 정상재였 다가 소득이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열등재로 바뀌는 경우가 많다. 위에서 예로 든 돼지고기와 소고기의 소비도 이에 해당한다.
이제 소비자의 소득의 변화가 수요를 변화시키는 경우를 살펴보자. 먼저 정상재의 경우이다. 어느 정상재의 가격에 아무런 변화가 없더라도 소비자의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자는 해당 재화의 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다. 즉, 소득이 증가하면 정상재의 수요는 증가하여 해당 재화의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소득이 감소하면 정상재의 수요는 감소하여 해당 재화의 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은 열등재의 경우이다. 어느 열등재의 가격에 아무런 변화가 없더라도 소비 자의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자는 해당 재화의 수요를 감소시킬 것이다. 즉, 소득이 증가하면 열등재의 수요는 감소하여 해당 재화의 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소득이 감소하면 열등재의 수요는 증가하여 해당 재화의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 다른 재화의 가격변화: 일상생활에서 사과와 배, 커피와 녹차, 콜라와 사이다 등과 같은 재화들은 용도가 비슷하여 한 재화 대신에 다른 재화를 소비해도 만족도에는 별 차이가 없게 되는데, 이처럼 용도 간에 서로 경쟁관계에 있는 재화 들을 대체재(代替財, substitutional goods)라고 하며, 대체재 간에는 대체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또한 자동차와 휘발유, 커피와 커피크림, 만년필과 잉크와 같은 재화들은 한 재화를 따로 소비할 때보다 함께 소비할 때 더 큰 만족을 얻을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재화들을 보완재(補完財, complementary goods)라고 하며, 보완재 간에는 보완관계에 있다고 말한다.
이제 한 재화의 가격 변화가 다른 재화의 수요를 변화시키는 경우를 살펴보자.
먼저 대체재의 경우이다. 다른 모든 조건에는 변화가 없고 대체재인 콜라와 사이다 중 콜라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콜라의 수요량을 감소시키고, 그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사이다의 수요량을 증가시킨다. 즉, 사이다 가격에 아무런 변화가 없더라도 대체관계에 있는 콜라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이다의 수요곡 선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콜라의 가격이 하락하면 콜라의 수요량이 증가하고 대체관계인 사이다의 수요량이 감소하므로, 사이다의 수요 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은 보완재의 경우이다. 다른 모든 조건에는 변화가 없고 보완재인 커피와 커피크림 중 커피의 가격이 상승하면 사람들은 커피의 수요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보완관계인 커피크림의 수요량도 감소하게 된다. 즉, 커피크림 가격에 아무런 변화가 없더라도 보완관계에 있는 커피의 가격이 상승하면 커피크림의 수요곡선은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커피의 가격이 하락하면 커피의 수요량이 증가하고 보완관계인 커피크림의 수요가 증가하므로, 커피 크림의 수요곡선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 소비자의 가격예상: 사람들이 어떤 재화의 가격이 가까운 장래에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가격이 상승하기 전에 그 재화를 보다 많이 사두려 하기 때문에그 재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 이를 가수요(假需要)라고 한다. 이와 반대로 사람들이 어떤 재화의 가격이 가까운 장래에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면, 가격이 하락한 다음에 그 재화를 사려고 구매를 미루기 때문에 그 재화에 대한 수요는 감소한다.
[ 가수요(假需要) ] 어떤 상품의 가격이 오를 것 같거나 상품이 부족하게 될 것 같은 상황에서 실제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상품을 미리 사두는 것을 말한다. |
㉣ 그 밖의 수요변화 요인: 수요는 소비자의 기호 변화, 소비자의 수, 경기 전망, 금리의 수준, 부동산에 대한 조세, 재산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