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부동산경제론
부동산의 공급 곡선과 법칙
1984 Seo
2025. 3. 10. 18:18
1) 공급의 개념
공급 (供給, supply)이란 일정 기간 또는 시점에 사람들이 재화와 서비 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한다. 공급은 일반적으로 일정한 기간을 전제로 하는 개념으로 유량이며, 일정 시점을 전제로 성립하는 저량의 공급량도 존재한다.재화나 서비스를 판매하고자 하는 사람을 공급자라고 하며, 주어진 가격수준에서 판매하려고 의도된 양을 공급량이라고 한다.
2) 공급 곡선과 공급의 법칙
㉠ 어떤 재화의 공급곡선이란 해당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그 재화의 공급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보여 주는 곡선이다.
[공급의 법칙] 어떤 재화의 단위당 가격(임대료)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하고, 단위당 가격(임대료)이 하락하면 공급량은 감소하는 관계, 즉 가격(임대료)과 공급량 사이의 비례(+) 관계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한다. 공급의 법칙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 공급곡선인데, 우상향의 모양을 갖는다. |
㉡ 다른 모든 요인들이 동일할 때 어떤 한 재화의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 하고,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이 감소한다. 이와 같이 해당 가격과 공급량 간의 비례 관계를 공급의 법칙이라고 한다.
㉢ 또한 해당 재화의 가격과 공급량 사이의 비례 관계를 좌표축상에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공급곡선이라고 한다. 다음 그림에서 공급곡선의 형태가 우상향의 모양을 갖는 이유는 공급의 법칙 때문이다.
3) 개별공급과 시장공급
개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공급량과 공급곡선은 개별공급량과 개별공급곡선이다. 그러나 재화와 서비스를 판매하는 시장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재화 가격수준에서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들의 개별공급 량을 더해 주면 시장 공급량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의 개별공급곡선을 합해 시장공급곡선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구해진 시장공급곡선 역시 공급의 법칙에 따라 우상향의 형태로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