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부동산경제론

부동산의 공급

1984 Seo 2025. 3. 13. 01:59

1) 부동산공급의 개념

부동산, 특히 토지는 부증성의 특성이 있으므로 물리적인 공급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건물은 물리적인 공급이 가능하고, 토지의 경우도 경제 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부동산공급자에는 생산자뿐만 아니라 기존의 주택이나 건물의 소유주도 포함된다.

 

2) 부동산의 공급곡선

㉠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공급이 쉬운지 어려운지를 나타낸다. 즉, 공급이 쉬울수록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완만해지고, 공급이 어려울수록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급해진다. 이때 공급곡선이 급하다는 것은 가격이 크게 올라가도 공급을 늘리 기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공급곡선이 완만하다는 것은 가격이 작게 올라가도 공급을 늘리기가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 토지의 자연적 특성인 부증성으로 인해 어떤 가격수준에서도 물리적으로 이용 가능한 토지의 양은 동일하다. 따라서 토지의 물리적 공급곡선은 수직선으로 나타난다(S1). 다만, 토지는 용도전환을 통한 공급이 가능하므로 토지의 경제적 공급은 우상향곡선의 모양으로 나타난다(S2). 공급곡선이 급한 것은 완만한 것에 비해 가격이 상승한다 할지라도 공급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 단기공급곡선이 장기공급곡선에 비해 경사도가 급한 것은 단기에는 그만큼 공급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단기에는 생산요소(토지 등)의 사용이 장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한되거나 용도전환도 그만큼 어렵기 때문이다. 장기공급곡선이 단기공급곡선에 비해 경사도가 완만한 것은 장기에는 그만큼 공급이 쉬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장기에는 단기에 비해 생산요소(토지 등)의 사용도 쉬워지고, 용도전환도 그만큼 가능하므로 공급곡선이 보다 완만해진다(S3 ).

 

㉣ 생산요소의 사용가능성이나 용도전환의 가능성의 정도에 따라 공급곡선의 기울기는 달라진다. 즉, 생산요소의 사용가능성을 제한하거나 용도전환을 제한하는 법규가 많을수록 공급곡선은 급해지고, 생산요소의 사용가능성이 풍부해지 거나 용도전환을 제한하는 법규가 완화될수록 공급곡선은 완만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