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부동산경제론
수요의 가격 탄력성과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
1984 Seo
2025. 3. 19. 13:28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소비자 지출액, 기업의 총수입, 부동산의 전체 수입) = 가격(임대료) × 수요량 |
소비자가 어떤 물건을 사면서 지출한 금액은 그 물건을 판 기업의 수입이 된다. 결국, 소비자의 지출액과 기업의 총수입은 같게 된다. 따라서 기업의 총수입은 공급의 가격탄력성과 관련 없고,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관련 있다.
임대부동산의 임대료총수입은 그 상품에 대한 시장수요량에 가격(임대료)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임대료총수입은 가격(임대료) 변화와 수요량 변화에 영향을 받는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일 경우 가격(임대료)이 상승하면 가격(임대료) 상승률 보다 수요량 감소율이 크게 되어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하고, 가격(임대료)이 하락한 다면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할 것이다. 그러나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일 경우 가격(임대료)이 상승하면 가격(임대료) 상승률이 수요량 감소율보다 크게 되어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하고, 가격(임대료)이 하락한다면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할 것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탄력적( εd >1)일 때 가격(임대료)이 하락하면, ㉮ 면적 < ㉯ 면적이므로 임대료총수입은 증가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비탄력적(0< εd<1 )일 때 가격(임대료)이 하락하면, ㉮ 면적 > ㉯ 면적이므로 임대료총수입은 감소한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단위탄력적( εd =1)일 때 가격(임대료)이 하락하면, ㉮ 면적 = ㉯ 면적이므로 임대료총수입은 불변이다.
[수요의 가격탄력성과 임대료총수입]
탄력성 | 변화율 | 임대료 하락 | 임대료 상승 |
εd > 1 | 수요량 변화율 > 가격(임대료) 변화율 | 임대료총수입 증가 | 임대료총수입 감소 |
εd = 1 | 수요량 변화율 = 가격(임대료) 변화율 | 임대료총수입 불변 | 임대료총수입 불변 |
0< εd < 1 | 수요량 변화율 < 가격(임대료) 변화율 | 임대료총수입 감소 | 임대료총수입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