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부동산개발론

부동산 개발의 유형

1984 Seo 2025. 6. 6. 12:31

부동산개발의 기본형과 유형
1) 부동산개발의 유형은 일반적으로 신개발과 재개발로 나눌 수 있다.

 

2) 도시재개발 시행방법에 의한 분류
㉠ 보전재개발: 사전에 노후·불량화의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채택하는 가장 소극 적인 도시재개발이다.
㉡ 수복재개발: 도시시설 및 건물의 본래 기능을 회복하기 위해 현재의 시설 대부 분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노후·불량화의 요인만을 제거하는 것으로, 소극적인 도시재개발의 대표적인 예이다.
㉢ 개량재개발: 기존시설의 확장·개선 또는 새로운 시설의 첨가를 통해 도시기능을 제고하고자 하는 도시재개발의 형태로, 수복재개발의 일종이다.
㉣ 철거재개발: 부적당한 기존환경을 완전히 제거하고 새로운 환경, 즉 시설물로 대체시키는 가장 전형적인 도시재개발의 유형이다.

 

3) 부동산개발방식의 유형 - 용지의 취득방식에 따라

㉠ 단순개발방식: 토지형질변경사업과 같이 토지소유자에 의한 자력개발방식을 말한다.
㉡ 환지방식: 택지가 개발되기 전 토지의 위치·지목·면적·등급·이용도 및 기타 사항을 고려하여 택지가 개발된 후 개발된 토지를 토지소유자에게 재분배하는 방식으로, 도시개발사업에서 많이 활용한다.
㉢ 매수방식: 대상토지의 전면매수를 원칙으로 하며, 사업시행자에 의한 수용절 차가 필요한 개발방식이다.
㉣ 혼합(혼용)방식: 대상토지를 전면매수 또는 환지하는 방식을 혼합하는 개발방 식으로, 「도시개발법」에 의한 도시개발사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