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학/부동산개발론

부동산관리의 영역

1984 Seo 2025. 6. 13. 14:50

부동산관리는 시설관리, 재산관리(건물 및 임대차관리), 자산관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중 자산관리가 가장 중요하다.

 

1) 시설관리(facility management):

단순히 시설의 사용자나 기업의 요구에 따라 각종 부동산시설을 운영·유지하는 형태의 소극적 관리를 말한다. 시설관리는 물리적 유지관리로, 설비의 운전 및 보수, 에너지 관리, 건물 청소관리, 방범·방재등 보안관리 등이 있다.

 

2) 재산관리(property management):

건물 및 임대차관리라고도 하는데, 부동산 보유기간 중에 부동산의 운영수익을 극대화하고 자산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한 관리를 말한다. 이는 임대 및 수지관리로서 수익목표의 수립, 자본적·수익적 지출계획 수립, 연간 예산수립, 임대차 유치 및 유지, 비용통제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3) 자산관리(asset management):

부동산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들을 모색함 으로써 부동산 소유자나 기업의 부(富)를 극대화하려는 적극적인 관리를 말한다.자산관리는 투자관리로, 포트폴리오 관리, 투자리스크 관리, 부동산의 매입과 매각관리, 프로젝트 금융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