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 Seo 2025. 6. 18. 12:30

임대차활동이란 임대차를 통해 수입을 확보하는 것을 말하는데, 부동산관리활동 중 가장 중요한 기초활동이다. 임대차활동은 대상부동산에 맞는 임차인들을 선정하는 데에서 시작된다. 부동산관리자는 가능임차인이 대상부동산에 맞다고 판단되면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임대료를 결정하는 방법은 총임대차, 순임대차, 비율임대차로 나눌 수 있다.

 

1) 총임대차(gross lease)

의의 임차인이 임대인에게 지불한 지불임대료에서 부동산운영에 관련된 부동 산세금, 보험료 등의 제 비용을 지불하는 방법을 말한다.
적용  주거용 부동산



2) 순임대차 (net lease)

의의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순수한 임대료만을 지불하고, 나머지 비용은 임차인과 임대인의 사전협상에 의해 지불하는 방법을 말한다.
적용 공업용 부동산
종류 1차 순임대차 순수한 임대료 이외에 편익시설에 대한 비용, 부동산 세금까지를 임차인이 지불하는 방법을 말한다.
그냥 순임대차라고 하면 1차 순임대차를 말하는 것이다.
2차 순임대차 1차 순임대차의 항목 이외에 보험료까지 지불하는 방법을 말한다.
3차 순임대차 2차 순임대차의 항목 이외에 유지수선비까지 지불하는 방법을 말한다.
3차 순임대차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3) 비율임대차(percentage lease)

의의  임차인의 총수입 중에서 일정 비율을 임대료로 지불하는 방법을 말한다.
적용  매장용 부동산



4) 대상부동산의 유지활동
대상부동산의 유지활동은 일상적 유지활동, 예방적 유지활동, 대응적 유지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 일상적 유지활동: 청소하기, 쓰레기 치우기, 잔디 깎기, 소독 등과 같이 일상적으로 늘 수행하는 유지활동을 말한다. 이를 정기적 유지활동이라고 한다.
② 예방적 유지활동: 시설이나 장비 등이 제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도록 수립된 유지계획에 따라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행하는 유지활동을 말한다. 이를 사전적 유지활동이라고 한다.
③ 대응적 유지활동: 문제가 발생하고 난 후에 행하는 유지활동을 말한다. 이를 사후적 유지활동 또는 수정적 유지활동이라고 한다. 부동산의 유지·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한 후 처리하면 고비용의 지출, 임차인의 불편 등을 야기하므로 예방적 유지·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