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부동산학 총론

부동산의 경제적 개념

by 1984 Seo 2025. 2. 27.

1) 자산  
부동산은 시장경제에서 누구나 이를 소유하고 자유로이 이용·처분하여 거기서 수익을 얻을 수 있으므로 경제적 가치가 큰 자산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자산(資産, assets)]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는 유형·무형의 재산을 말한다.


2) 자본
토지를 생산요소보다 자본이나 자본증식의 수단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특히, 주택은 소비자 자본(consumer’s capital)이라고 하여 자본재와 구별하기도 한다. 경제학에서는 토지를 인간이 만든 것이 아니므로 자본재에 포함시키지 아니하나, 부동산활동에서 토지는 자연자본(natural capital)으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생산을 해야 하는 기업의 측면에서 토지는 다른 자본재와 같이 임차하거나 매수해야만 하는 재화이 다. 따라서 토지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자본재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3) 생산요소
토지는 노동, 자본 등과 더불어 생산요소 중 하나이다. 생산요소로서의 토지는 제품 생산에 필요한 부지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자연이 준 양식자원, 섬유, 건축자재, 광물, 에너지자원, 기타 원료를 제공해 주는 공급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생산요소]
생산요소는 인간에게 필요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전통적으로 생산요 소는 노동(인적 자원), 자본(생산된 물적 자원), 토지(자연 자원)로 분류된다.


4) 소비재
토지는 생산요소 및 생산재로서의 성격을 갖지만 동시에 인간생활에 편의를 제공해 주는 최종소비재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토지는 내용연수가 존재하지 않지만 용도면 에서 주택용지, 빌딩용지, 공장용지, 공원용 토지 등 각종 개량물이 들어서면 다른 용도로는 이용할 수 없으므로 최종소비재의 성격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5) 상품 
부동산은 소비재이며 또한 시장에서 거래가 되는 상품이다. 부동산 자체는 지표에 고정되어 있어 움직이지 않지만 부동산의 소유권은 시장에서 빈번히 유통된다. 이것은 시장에서 부동산과 화폐의 교환, 소유권과 화폐의 교환 형태로 나타난다.

[상품]
재화나 서비스 중 시장에서 교환되는 것, 즉 매매의 대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

 

'부동산학 > 부동산학 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의 복합개념  (0) 2025.02.27
부동산의 물리적 개념  (0) 2025.02.27
부동산의 제도적 개념  (0) 2025.02.27
부동산학의 원칙  (0) 2025.02.25
부동산학의 연구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