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143

적산법의 의의 적산법의 의의 기초가액 × 기대이율 + 필요제경비 = 적산임료 적산법이란 대상물건의 기초가액에 기대이율을 곱하여 산정된 기대수익에 대상물건을 계속하여 임대하는 데 필요한 경비를 더하여 대상물건의 임대료(賃貸料)를 산정하는 감정평가방법을 말한다. 적산법에 따라 산정된 임대료를 적산임료라고 한다. 2025. 7. 18.
원가법의 장단점 원가법의 장단점 1) 장점 ㉠ 건물, 기계장치, 재생산이 가능한 물건 등 상각자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 시장성이 없는 부동산이나 수익성이 없는 부동산(예_공공용 부동산 등) 등을 평가할 경우에 활용된다. 2) 단점 ㉠ 토지와 같이 재생산이 불가능한 자산에는 적용이 어렵다. ㉡ 재조달원가에만 치중하므로 대상부동산에 대한 시장성 및 수익성이 반영되지 못한다. 2025. 7. 17.
감가수정의 방법 감가수정의 방법: 감가수정을 할 때에는 경제적 내용연수를 기준으로 한 정액법이나 정률법 또는 상환기금법 중 대상물건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적용하여야 한다.다만, 감가수정이 적절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물리적·기능적·경제적 감가요인을 고려하여 관찰감가 등으로 조정하거나 다른 방법에 따라 감가수정할 수 있다. 1) 내용연수에 의한 방법 ⓐ 정액법 ⇨ 직선법, 균등상각법 ⅰ) 의의: 대상부동산의 감가행태가 매년 일정액씩 감가된다는 가정하에 부동산의 감가총액을 단순한 경제적 내용연수로 평분하여 매년의 상각 액으로 삼는 방법이다. ⅱ) 특징: 감가누계액이 경과연수에 정비례한다. ⅲ) 장점: 계산이 간단하고 용이하다. ⅳ) 단점: 실제의 감가와 불일치한다. ⅴ) 적용대상: 건물·구축물 등의 평가에 적용한다. ⓑ 정률.. 2025. 7. 16.
감가의 요인 감가요인의 해당성부동산의 건설 또는 취득일로부터 시간의 경과나 사용 등으로 인해그 경제적 가치 및 효용이 감소되는 요인을 말한다. 물리적·기능적 요인에 의한 감가는 치유 가능한 감가* 또는 치유 불가능한 감가*에 해당하며, 경제적 요인에 의한 감가는 치유 불가능한 감가에 해당한다. [치유(회복) 가능한 감가]감가요인 치유에 따라 추가되는 보수비용보다 보수 이후의 가치 증가분이 큰 경우를 말한다.[치유(회복) 불가능한 감가]보수비용보다 가치 증가분이 작은 경우를 말한다. 1) 물리적 감가요인대상물건의 물리적 상태 변화에 따른 감가요인을 말한다. 대상부동산의 사용에 따른 마멸 및 파손, 시간의 경과에서 오는 손모, 자연적 작용에 의하여 생기는 노후화 및 우발적 사고로 인한 손상 등이 이에 해당 한다. 2).. 2025. 7. 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