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법/계약법

계약의 해지

by 1984 Seo 2025. 2. 15.

1) 서설
① 의의: 계약의 해지란 계속적 채권관계에 있어 계약의 효력을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 키는 계약 당사자의 일방적 의사표시를 말한다.

 

② 성질
㉠ 해지는 일방적 의사표시로, 계약을 소멸시키는 형성권이다.
㉡ 해지는 계속적 채권계약에 한해 인정되고, 장래에 향하여 효력이 발생한다.

구분 해제 해지
공통점 · 형성권
· 약정 또는 법률규정에 의해 발생
· 손해배상청구 가능
· 철회 불가
적용범위 일시적 계약관계에서 인정 계속적 계약관계에서 인정
효력 계약이 소급적으로 소멸  계약이 장래에 향해서만 소멸
의무 원상회복의무를 부담 청산의무를 부담

 

2) 해지권의 발생
① 약정해지권의 발생: 약정해지권은 당사자의 합의에 의해 발생한다.
② 법정해지권의 발생
㉠ 민법은 법정해지권의 발생에 관해 일반적 규정을 두지 않고, 각 계약에 따라 개별적 규정을 두고 있을 뿐이다.
㉡ 제544조 내지 제546조가 법정해지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긍정설과 부정설(다수설)이 대립된다.

'민법 > 계약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의 성립  (0) 2025.02.15
매매의 의의  (0) 2025.02.15
해제의 효과  (0) 2025.02.15
해제권의 행사  (0) 2025.02.14
해제권의 발생원인  (0)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