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부동산경제론

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

by 1984 Seo 2025. 3. 24.

1)부동산경기변동의 개념

① 부동산경기는 일반적으로 건축경기를 말하는데, 그중에서도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를 지칭한다. 이를 협의의 부동산경기라고 한다. 광의의 부동산경기는 공업 용·상업용 부동산경기를, 최광의의 부동산경기는 토지경기를 포함한다.
② 부동산경기변동이란 부동산시장이 일반경기변동처럼 상승과 하강 국면이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다만, 부동산시장은 여러 개의 부분시장(submarket)으로 이루 어져 있으므로 다양한 시장경기를 대표하는 부동산경기라는 용어도 조심스럽게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2) 부동산경기변동의 특징
①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보다 변동주기가 더 길다. 부동산경기의 변동주기(17∼18년)는 일반경기의 변동주기(8~10년)에 비해 약 2배 길다.
② 부동산경기의 변동은 일반경기의 변동에 비해 저점이 깊고 정점이 높다. 즉, 부동 산경기순환의 진폭은 일반경기의 진폭보다 크다.
③ 부동산경기변동은 일반경기의 진퇴에 대해 뒤처지는 시간차가 존재하며(타성기간),
주기의 순환국면이 명백하지 않고 일정하지 않으며 불규칙적이다.
④ 부동산경기는 지역적·국지적으로 나타나서 전국적·광역적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부동산경기의 변동 크기와 진폭은 도시마다 다르고, 같은 도시라도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의 경기는 일반경기에 비해 전순환적이고,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에 비해 후순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⑥ 상업용·공업용 부동산경기는 일반경제의 경기와 대체로 일치하는 동시순환적인 경향을 보이지만, 주거용 부동산의 건축경기와 일반경제의 경기는 서로 역순환적인 경향을 보인다.

⑦ 부동산경기는 비교적 경기회복이 느리고 경기후퇴는 빠르게 진행된다.

전순환적(pre-cyclical) 경기순환
부문별 경기가 일반경기보다 앞서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후순환적(post-cyclical) 경기순환
부문별 경기가 일반경기보다 뒤에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동시순환적(equi-cyclical) 경기순환
부문별 경기가 일반경기와 동시에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역순환적(counter-cyclical) 경기순환
부문별 경기와 일반경기의 순환이 서로 반대로 진행하는 것을 말한다.

 

'부동산학 > 부동산경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시장의 경기별 유형  (0) 2025.03.26
부동산경기측정의 지표  (0) 2025.03.25
수요의 교차탄력성  (0) 2025.03.23
수요의 소득탄력성  (0) 2025.03.22
공급의 가격탄력성  (0) 2025.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