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부동산시장론

허프(D. L. Huff)의 확률적 상권모형

by 1984 Seo 2025. 4. 10.

허프는 소매인력론을 소매상권이론으로 전환시켜 소매지역이론으로 발전시켰는데, 이를 통해 대도시에서 쇼핑 패턴을 결정 하는 확률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확률적 상권모형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상업지를 측정하는 데 흔히 쓰인다.

 

점포의 거래권에 영향을 주는 것은 근본적으로 행동자로서의 소비자이다. 인구밀 도가 높은 도시(고밀도의 시가지)에 거주하는 소비자는 특정지역에서만 상품을 구입 하지 않으므로 상가는 소비자의 기호나 소득관계를 참작하여 선택된 상품(예 전문품) 등을 판매하여야 한다. 허프의 확률적 상권모형에 의하면, 어느 상점의 고객유인 력은 매장규모에 비례하고 공간(거리)마찰계수승에 반비례한다.

 

[공간(거리)마찰계수]
고객이 특정 점포를 이용하는 데 따른 교통조건이나 하천 등의 방해요소 등을 말한다. 즉, 특정 점포를 이용하는 데 따른 고객의 부담 정도를 의미한다. 공간(거리)마찰계수는 시장의 교통조건과 쇼핑 물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교통조건이 나쁠수록 커지게 된다.

 

소비자가 A매장을 이용할 확률(시장점유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