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부동산시장론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

by 1984 Seo 2025. 4. 12.


1) 베버(A. Weber)의 최소비용이론,   베버의 공업 입지론

베버는 생산과 판매에 있어 최소운송비가 드는 지점에서 공업입지가 이루어진다는 최소비용이론을 주장하였다. 이때 수송비는 원료와 제품의 무게, 원료와 제품이 수송되는 거리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으며, 원료를 보편원료와 국지원료로 구분하여 원료지수를 도출하였다.

 

 

[원료지수]
제품중량에 대한 국지원료중량의 비율을 말한다.



㉠ 원료지향형 산업: 원료산지에 입지하여 생산활동을 하는 산업을 말한다. 원료 중량이 제품중량보다 커서 원료수송비가 제품수송비보다 많은 산업은 원료산 지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시멘트공업, 제련공업 등과 같이 원료로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량이 감소하는 중량감소산업의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 또한 국지원료(편재원료)를 많이 투입하는 산업, 통조림공업, 냉동공업과 같이 부패 하기 쉬운 원료·물품을 생산하는 산업은 원료산지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 시장지향형 산업: 시장 가까이에 입지하여 생산활동을 하는 산업을 말한다. 제품중량이 원료중량보다 커서 제품수송비가 원료수송비보다 많은 산업은 시장 가까이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청량음료, 맥주 등과 같이 원료로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중량이 증가하는 중량증가산업의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 보편 원료를 많이 투입하는 산업, 완제품의 부패가 쉬운 산업이나 소비자와 많은 접촉을 필요로 하는 산업은 시장 가까이에 입지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소비 시장에 재고량을 확보할 수 있으며 수요에 민감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도 시장지향형 입지를 하고 있다.

 

㉢ 자유입지형 산업: 수송비가 입지선정에 거의 작용하지 않는 고도의 대규모 기술집약적 산업을 말한다

(예 자동차, 항공기, 전자산업 등).

 

㉣ 중간지향형 산업: 소비시장과 원료산지 사이에 이적지점(移積地點, 적환지점)이있는 경우의 산업을 말한다. 이적지점 지향형 또는 적환지점 지향형이라고도 한다. 원료의 수송수단을 바꿔 수송하는 경우로, 이적지점에서 이적비용이 급격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산업이 이에 해당한다.

 

㉤ 집적지향형 산업: 수송비의 비중이 적고 기술연관성이 높은 산업으로, 기술· 정보·시설·원료 등을 공동이용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는 경우를 말한다(예 기계 공업, 자동차공업, 석유화학, 제철 등).

 

㉥ 노동지향형 산업: 생산비 가운데 임금의 비중이 큰 산업을 말한다. 출판, 섬유, 신발, 합판산업 등과 같이 노동집약적이고 미숙련공을 많이 사용하는 산업은 저임금지역에 공장이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