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법/민법총칙

법률행위의 기능성

by 1984 Seo 2025. 1. 28.

1) 불능 여부의 판단기준과 판단시점
① 법률행위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법률행위의 목적이 실현가능하여야 하며 법률행위의 불능 여부는 사회통념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한강에 빠진 시계를 찾아내는 계약을 한 경우, 이는 물리적으로는 가능할지 몰라도 사회통념상 불가능하다고 평가된다.

② 법률행위의 목적이 불능인지의 여부는 법률행위 성립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2) 불능의 종류
① 원시적 불능과 후발적 불능: 법률행위 성립 당시를 기준으로 이미 그 이전에 법률 행위의 목적이 불능인 경우를 원시적 불능이라고 하고, 법률행위 성립 당시에는 법률행위의 목적이 가능하였지만 이행기에 그 목적이 불가능하게 된 경우를 후발적 불능이라고 한다.

② 객관적 불능과 주관적 불능: 법률행위의 목적을 어느 누구도 실현할 수 없는 경우를 객관적 불능이라고 하고, 당해 채무자만 실현할 수 없는 경우를 주관적 불능이 라고 한다.

③ 전부불능과 일부불능: 법률행위의 목적의 전부가 불능인 경우를 전부불능이라고 하고, 일부가 불능인 경우를 일부불능이라고 한다.

'민법 > 민법총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타당성  (0) 2025.01.28
적법성  (0) 2025.01.28
법률행위의 목적  (0) 2025.01.28
법률행위의 요건  (0) 2025.01.28
주된 행위, 종된 행위 - 다른 법률행위의 필요 여부에 의한 구별  (0) 2025.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