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학/부동산학 총론

부동산의 이해

by 1984 Seo 2025. 2. 24.

1)  부동산학의 정의
① 우리나라에 부동산학을 처음 소개한 김영진 교수는 “부동산학이란 부동산활동의 능률화의 원리 및 그 응용기술을 개척하는 종합응용과학이다.”라고 정의하였다.
② 조주현 교수는 “부동산학은 부동산의 가치증진과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부동산에 대해 법적·경제적·기술적 측면에서 접근을 시도하는 종합응용
사회과학*이다.”라고 정의하였다. 1)
③ 안정근 교수는 링(Alfred Ring) & 다소(Jerome Dasso)의 정의를 따라 “부동산학은 토지와 토지상에 부착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는 여러 가지 항구적인 토지개량물 (land improvement)*에 관하여 그것과 관련된 직업적·물적·법적·금융적 제측면을 기술하고 분석하는 학문연구의 한 분야이다.”라고 하였다. 2)

[사회과학]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사회현상과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연구하는 과학의 한 분야를 말한다.

[토지개량물(land improvement)]
노동이나 자본과 같은 인위적인 힘을 통해 정착 또는 부착하여 토지의 효용성을 증가시키는 건축물·구조 물·관개시설 등을 말한다.

 

2) 부동산학의 학문적 성격
부동산학의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면 인간 사회의 여러 현상을 과학적·체계적으로 연구하는 사회과학에 해당하는데, 구체적으로 인간과 부동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또한 순수과학과 달리 복잡한 현실적 사회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응용과학 이다. 그리고 부동산활동과 현상을 연구할 때 경제학·법학·행정학·사회학·심리학등 여러 분야의 학문과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합과학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부동 산학은 그 밖의 실천과학이며, 경험과학, 규범과학에 해당한다.

 

3) 부동산학의 여러 측면과 복합개념
부동산의 개념과 범위는 인간의 눈에 비치는 유형적 측면(기술적 측면)과 관념적으로만 인식될 수 있는 무형적 측면(법률적 측면, 경제적 측면)으로 파악할 수 있다. 3) 부동산학은 여러 부동산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거나 부동산결정을 행하고 부동산활동을 전개해 나가기 위해 주로 복합개념의 사고원리를 사용한다. 따라서 부동산을 유형·무형의 법률·경제·기술의 3대 측면이 복합된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을 복합개념의 부동산*이 라고 하며, 부동산을 복합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은 부동산활동을 위한 의사결정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복합개념의 부동산]
부동산을 유형·무형의 법률·경제·기술의 3대 측면이 복합된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을 말한다.


1) 조주현, 「부동산학원론」, 건국대학교출판부, 2003, p.3
2) 안정근, 「현대부동산학」, 법문사, 2004, p.3  
3) 방경식, 「부동산학개론」, 범론사, 2000, pp.93~95
이창석, 「부동산학개론」, 형설출판사, 2000, pp.7~8

'부동산학 > 부동산학 총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의 물리적 개념  (0) 2025.02.27
부동산의 경제적 개념  (0) 2025.02.27
부동산의 제도적 개념  (0) 2025.02.27
부동산학의 원칙  (0) 2025.02.25
부동산학의 연구  (0) 2025.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