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형 이론은 호이트(H. Hoyt)가 동심원이론을 수정·보완한 것으로, 토지이용은 도심에서 시작되어 점차 교통망을 따라 동질적으로 확장되며, 원을 변형한 모양 으로 도시가 성장한다는 이론이다. 도로에 따라 부채꼴 모양 또는 축(軸) 형상을 이룬다고 하여 선형이론, 축이론이라고 한다.
㉡ 선형이론에 의하면 도시공간은 교통노선을 따라 불규칙적으로 부채꼴 모양으로 확대 배치되며, 고급주택은 교통망의 축에 가까이 입지하고, 중급주택은 고급주택의 인근에 입지하며, 저급주택은 반대편에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 이론은 단순히 과거의 경향을 말하는 것일 뿐, 도시성장의 추세분석을 유도하기에는 미흡하다는 비판도 있다.
㉢ 주택구입능력이 높은 고소득층의 주거지는 주요 간선도로 인근에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 즉, 주택지불능력이 있는 고소득층은 기존의 도심지역과 주요 교통노 선을 축으로 하여 접근성이 양호한 지역에 입지하는 경향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