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의시간가치 계산화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가치가 달라지는 것이므로 현금흐름의 발생 시점이 다를 경우 동일 시점의 가치로 환산해야 비교가 가능하다. 즉, 화폐의 평가는 현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데 반해, 이로 인한 현금흐름은 미래에 발생하므로 서로 다른 시점의 현금흐름을 동일 시점의 가치로 환산하는 것을 화폐의 시간가치 계산이라고 한다. 화폐의 시간가치 계산에서 현재가치를 미래가치로 바꾸거나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바꿀 때 사용하는 계수를 자본환원계수라고 한다.
[자본환원계수] 금융계수라고도 하는데, 화폐의 시간가치 계산에서 현재가치를 미래가치로 바꾸거나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바꿀 때 사용하는 계수이다. |
현재가치를 미래가치로 환산할 때에는 할증이라는 개념을 사용하고, 미래가치를 현재 가치로 환산할 때에는 할인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또한 현재가치를 미래가치로 환산할 때에는 할증률을, 미래가치를 현재가치로 환산할 때에는 할인율을 적용한다. 할증률과 할인율은 무엇을 목적으로 사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뿐 본질적으로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미래가치 | 현재가치 | ||||
일시불의 내가계수 |
개념 | 1원을 이자율 r로 저금했을 때 n 년 후에 찾게 되는 금액 |
일시불의 현가계수 |
개념 | n년 후의 1원을 할인율 r로 할인하면 현재의 금액은 얼마인지를 나타내는 금액 → 일시불의 내가계수의 역수 |
식 | n (1 + r) |
식 | 1 -n -------------- = (1 + r) n (1+ r ) |
||
연금의 내가계수 |
개념 | 매년 1원씩 받게 되는 연금을 이자율 r로 계속해서 적립했을 때 n 년 후에 달성되는 금액 |
연금의 현가계수 |
개념 | 이자율이 r이고 기간이 n 일 때, 매년 1원씩 n년 동안 받게 될 연금을 일시불로 환원한 금액 |
식 | n (1+r) - 1 ------------- r |
식 | - n 1 - ( 1 + r ) --------------------- r |
||
감채기금 계수 |
개념 | n년 후에 1원을 만들기 위해서 매 기간마다 적립해야 할 금액 → 연금의 내가계수의 역수 |
저당상수 | 개념 | 이자율이 r이고 기간이 n 일 때, 현재1원을 대출받고 n년 동안 매년 지불해야 하는 금액 → 연금의 현가계수의 역수 |
식 | r -------------- n (1+r) - 1 |
식 | r --------------- - n 1 - ( 1 + r ) |
[감채기금계수] n년 후에 1원을 만들기 위해 매 기간마다 적립해야 할 금액을 나타내는 자본환원계수로, 연금의 내가계수의 역수이다. [저당상수] 일정액을 빌렸을 때 매 기간마다 갚아야 할 원금과 이자의 합계를 구할 때 사용하는 자본환원계수이다. 원리 금균등분할상환 시 융자금액에 대한 월불입액을 계산하는 데 사용한다. 연금의 현가계수와 역수관계이다. |
'부동산학 > 부동산투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분복귀액의 계산 (0) | 2025.05.08 |
---|---|
영업의 현금흐름 계산 (0) | 2025.05.07 |
포트폴리오의 관리 (0) | 2025.05.05 |
포트폴리오의 위험분산 (0) | 2025.05.04 |
포트폴리오 이론 (0) | 2025.05.03 |